자유 게시판

성전환 수술받은 트랜스젠더의 삶, 30년간 추적해보니

작성자
한국성과학연구협회
작성일
2020-02-22 07:19
조회
4472



성전환 수술받은 트랜스젠더의 삶, 30년간 추적해보니

기독교 성교육 이렇게 하라 <12·끝>  입력 : 2020-02-21 17:35




 










한국성과학연구협회장 민성길 연세대 명예교수(왼쪽)와 이명진 성산생명윤리연구소장이 지난해 책 ‘성 사랑 가정Ⅱ’의 발간 동기를 설명하고 있다. 성과연 제공

최근 직업군인으로 복무 중인 남성이 성전환수술 후 여군으로 복귀하겠다고 주장해 트랜스젠더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다. 트랜스젠더란 간단히 말해 타고난 몸은 남자인데 스스로 여자라고 주장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다.

미국정신의학회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 제5판(DSM-V)에서 트랜스젠더를 젠더불쾌증으로 명명한다. 이는 생물학적 성과 스스로 생각하는 성이 달라서 생기는 불편한 감정 상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8년 6월 개정된 국제질병분류(ICD-11)에서 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명을 젠더불일치로 바꾸면서 ‘성 관련 건강상태’(Sex-related health condition)라는 정상 범주에 포함시켰다. 정신장애가 아니라 정상이라는 의미다.

그런데도 질병분류에 포함시킨 이유는 의료보험으로 성전환 수술이나 호르몬 치료를 받도록 하기 위해서다. 병이 아닌 것을 위해 병 치료를 위한 의료보험을 사용하는 셈이다.

젠더불쾌증을 호소하는 사람은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호르몬 치료와 성전환 수술을 고민하게 된다. 저주받은 몸에서 벗어나면 행복한 삶이 기다리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전환 시술이 반드시 원하는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호르몬 치료에는 사춘기 전에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 호르몬 길항제(GnRH agonist)를 통해 사춘기를 억제하는 방법과 사춘기 후에 반대의 성호르몬(Cross-sex hormone)을 투약하는 방법이 있다.

남성에게 여성 호르몬을, 여성에게 남성 호르몬을 장기간 투여한 결과 생기는 부작용은 충분히 알려져 있다. 체중을 증가시키고 혈전증, 심혈관 질환, 중성지방 혈증, 고혈압, 포도당 내성저하, 담낭 질환, 프로락틴종, 유방암 발생률을 높인다. 불임도 유발한다.

아동에게 사춘기가 되지 말라고 억제 호르몬 치료를 하는 목적은 성 정체성을 결정하지 못한 아이에게 시간을 벌어주고, 사춘기에 나타나는 2차 성징과 급격한 외모 변화가 아동에게 우울감, 불안 장애를 일으키기에 그 변화를 늦추자는 것이다.

문제는 일단 사춘기 억제 치료를 받은 아동들은 생물학적 성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드 브리스(De Vries) 박사는 단일 장기 추적 연구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 호르몬 길항제(GnRH agonist)로 사춘기를 억제한 아동 70명 모두 나중에 타고난 성과 반대의 성을 선택했다고 보고했다.

사춘기 억제 치료를 해 주면 성 정체성으로 인한 불쾌감이 줄어들고 반대의 성을 칭하는 행동이 강화되면서 원래의 성으로 영영 돌아올 수 없게 된다. 임신 능력도 없어진다.

치료를 받지 않는 아동들은 어떨까. 연구에 의하면 젠더불쾌증을 가진 아동 중 80~95%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타고난 성을 받아들여 청소년기에는 몸과 성 정체성이 일치하는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태가 된다. 섣불리 호르몬 치료를 하는 것은 큰 실수인 셈이다.

성전환 수술은 외과수술을 통해 성기나 유방을 제거하거나 성형수술로 성기나 유방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후 성호르몬을 평생 지속해서 투여받아야 한다. 성전환 수술과 치료 후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아진다는 연구도 있지만, 장기 추적 연구결과는 전혀 다르다. 스웨덴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은 사람 300명을 30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 의하면, 일반인들보다 서너 배 많은 우울증과 불안 상태, 정신병원 입원율, 자살률, 장기적인 신체 합병증에 따른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자신이 완전한 여성도 아니고 완전한 남성도 아니라는 점에서 수술을 후회하는 사람도 많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인 맥휴(McHugh)는 젠더불쾌증을, 신경성 식욕부전증(거식증) 또는 신체변형장애 같은 정신 장애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수술이나 호르몬 투여 같은 방법으로 신체를 바꾸는 게 아니라 정신을 치료해야 한다.

비유를 들자면, 성전환 치료는 비만 공포를 가진 섭식장애 환자를 지방 흡입으로 치료하는 것처럼 무의미하다. 정신적 문제를, 몸을 바꾸는 치료로 해결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범주 오류(category mistake)에 해당된다.

히포크라테스 선서에는 ‘퍼스트, 두 노 함(First, Do No Harm)’이라는 구절이 있다. 어떤 경우에도 환자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의학의 철학’의 저자 오모다카 히시유키는 “먼저 의학과 의술이 있고 그다음에 의료윤리와 의철학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의료윤리와 의철학이 없는 의료는 진정한 의료가 아니다”고 말한다. 의료는 철저한 의학적 연구와 치열한 윤리적 고민하에 행해져야 한다는 이야기다.

트랜스젠더, 젠더불쾌증 환자에게 행해지는 성전환 치료는 궁극적으로 환자를 이롭게 하지 못한다. 의료윤리에 어긋난 잘못된 의료행위일 뿐이다.

고두현 연구팀장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한국성과학연구협회는 지난해 학교와 교회, 가정에서 학부모와 교사, 성교육 강사 등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성교육 교재 ‘성 사랑 가정 II’를 발간했다. 자세한 내용은 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24069
전체 293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93 젠더주의의 거짓과 허구
젠더주의의 거짓과 허구
젠더주의의 거짓과 허구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6.02 | 추천 0 | 조회 14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6.02 0 14
292 젠더주의는 창조섭리를 부정하는 이념이다
젠더주의는 창조섭리를 부정하는 이념이다
젠더주의는 창조섭리를 부정하는 이념이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28 | 추천 0 | 조회 35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28 0 35
291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차별조장법이다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차별조장법이다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차별조장법이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20 | 추천 0 | 조회 47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20 0 47
290 가정을 파괴하는 자가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려는 자다
가정을 파괴하는 자가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려는 자다
가정을 파괴하는 자가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려는 자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20 | 추천 0 | 조회 45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20 0 45
289 네오마르크시즘이 기독교에 끼친 악영향
네오마르크시즘이 기독교에 끼친 악영향
네오마르크시즘이 기독교에 끼친 악영향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12 | 추천 0 | 조회 64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12 0 64
288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1)] 자살하는 문명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1)] 자살하는 문명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1)] 자살하는 문명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06 | 추천 0 | 조회 69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06 0 69
287 포스트모더니즘은 반 기독교적 좌편향 이념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반 기독교적 좌편향 이념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반 기독교적 좌편향 이념이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06 | 추천 0 | 조회 54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06 0 54
286 해체주의의 반기독교적 속성
해체주의의 반기독교적 속성
해체주의의 반기독교적 속성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5.01 | 추천 0 | 조회 82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5.01 0 82
285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0)] 성혁명의 현재와 미래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0)] 성혁명의 현재와 미래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100)] 성혁명의 현재와 미래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4.24 | 추천 0 | 조회 78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4.24 0 78
284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는 진화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는 진화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는 진화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 2023.04.21 | 추천 0 | 조회 69
한국성과학연구협회 2023.04.21 0 69